나의 이야기

[스크랩] 체리 재배전망

달은 구름을 따르지 않는다 2017. 5. 7. 20:25

1. 재배현황(栽培現況)
    가. 세계
      양앵두는 전 세계적으로 375,185ha에서 1,896,522톤이 매년 생산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터키, 미국, 이란, 우크라이나 등의 국가들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산과 양앵두는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루마니아 등의 동유럽 국가에 집중되어 재배되고 있으며, 감과 양앵두는 이태리, 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독일 등과 같은 서유럽 국가들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표 1. 세계의 양앵두 재배면적 및 생산 현황
   

국    가

재배면적(ha)

생산량(톤)

세  계

375,185

1,896,522

터  키

25,400

255,000

미  국

29,000

220,000

이  란

25,000

220,000

우크라이나

20,000

140,000

독  일

33,000

120,000

이태리

28,800

100,000

루마니아

9,800

98,000

러시아

27,000

95,000

스페인

30,000

73,400

프랑스

12,200

57,200

    자료 : FAO 생산통계(2003)
     
  2. 일본
    일본의 양앵두 재배면적은 1970년에 1,720ha였던 것이 계속 증가하여 2002년에는 4,000ha에서 21,200톤이 생산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야마가다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그 다음이 홋가이도, 아오모리, 야마나시 등의 현이다(표 2).
     
     
    표 2. 일본의 양앵두 재배 및 생산 현황
   

연  도

1970

1980

1990

1995

2000

2002

재배면적(ha)

 1,720

 2,780

 3,050

 3,850

3,820

4,000

생 산 량(톤)

13,100

15,100

16,100

15,600

17,100

21,200

    자료 : 일본 농림수산성
     
   
표 3. 일본의 양앵두 주요 재배현의 품종별 재배면적
(단위 : ha, %)
   

좌등금

나폴레옹

고사

북광

남양

기타

4,052.5

(100)

2,420.7

(59.7)

562.9

(13.9)

312.9

(7.7)

167.9

(4.1)

11.2

(2.7)

476.9

(11.8)

야마가다

(山形)

2,590.0

(64.0)

1,780.8

(68.8)

454.9

(17.6)

123.7

(4.8)

1.1

(0.0)

19.9

(0.8)

209.6

(8.1)

홋가이도

(北海島)

434.4

(10.7)

133.7

(30.8)

15.7

(3.6)

6.2

(1.4)

105.2

(24.2)

47.6

(11.0)

126.0

(29.0)

아오모리

(靑森)

382.1

(9.4)

172.0

(45.0)

41.6

(10.9)

3.9

(1.0)

61.5

(16.1)

40.6

(10.6)

62.5

(16.4)

야마나시

(山梨)

281.4

(6.9)

98.0

(34.8)

8.9

(3.2)

137.6

(48.9)

0.1

(0.0)

0.1

(0.0)

36.7

(13.0)

기    타

364.6

(9.0)

236.2

(64.8)

41.8

(11.5)

41.5

(11.4)

0

(0.0)

3.0

(0.8)

42.1

(11.5)

    주) (  )내의 숫자는 각 현의 품종별 점유율임
자료 : 野口. 2000. 과실일본 55(12) : 30~32.
     
      재배품종별로는 좌등금이 가장 많아 전체 재배면적의 54.9%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나폴레옹, 고사 등이다. 또한 최근에는 많은 신품종들이 육성되어 이들 신품종의 재배면적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표 4. 일본의 양앵두 주요 품종별 재배면적(1995)
(단위: ha)
   

소계

좌등금

나폴레옹

고사

북광

남양

자보레

향하금

서미트

홍수봉

정향금

3,701

2,030

665

331

246

127

53

39

26

25

22

    자료: 일본 농림수산성(1997)
     
  3. 우리나라
   우리나라의 경우 양앵두 재배면적이나 생산량은 매우 적어 아직도 주요 과수로 취급되지 못하고 있으나 과수 중에서는 가장 빨리 성숙되기 때문에 경영규모의 확대와 과실 소비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과수이다. 1984년부터 수입종묘상에 의해 전국에 걸쳐 무분별하게 많은 묘목이 심겨졌으나 재배적지 선정의 잘못과 재배기술의 미비로 대부분 실패하고 말았다. 현재 규모화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은 1920년대 이후 일제의 보호아래 우리나라로 이주하였던 일본인들에 의해 조성되었던 것을 해방 이후 물러 받아 주산지를 이루고 있는 경북 경주시 건천면, 대구시 동촌지역과 최근에 신규로 조성된 몇 지역 등이다. 1989년 원예시험장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양앵두 재배면적은 30여 ha였으며 재배농가수는 137호, 재식주수는 12,364주에 지나지 않았는데, 현재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기존 과수원인 경우에는 나폴레옹, 황옥이 주된 품종이었으나 최근에 신규로 개원된 과수원에서는 좌등금을 주품종으로, 수분수로 고사 품종이 심겨져 왔다.
     
  4. 전망
   수입 자유화에 의해 양앵두 생과는 1985년부터 가공품은 1990년부터 수입되기 시작하여 매년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수송성, 저장성이 낮은 생과의 항공 냉장수송에 따른 비용 증가로 수입산 가격이 국내산보다 높을 뿐 아니라 신선도가 낮아 국내 생산할 때에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 또 양앵두는 수확기가 다른 과수보다 빨라 경영비가 적게 소요되므로 재배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재배기술 개선과 시설재배에 의한 품질 향상, 숙기 촉진 등으로 수입산과 경쟁하여 국내 수요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만생종 위주로 대일 수출시장을 개척해 나간다면 재배면적의 확대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우리나라의 연도별 양앵두 생과 수입량
(단위: kg)
   

국 가

2004년

2000년

1996년

766,477

193,777

64,262

미    국

707,607

174,478

64,262

뉴질랜드

 56,781

 18,749

기    타

  2,089

   550

    자료 : 관세청 수출입통계

출처 : 우 림 묘 목 농 원
글쓴이 : 우림 원글보기
메모 :